• 인사이트
  • 여행

월간 국내·해외 여행 동향 보고 12월

2025-01-22
2024년 12월 국내·해외 여행 동향 분석 조사요약
■ 국내 여행

▷ 현황

- 12월 국내 숙박여행 경험률은 64.6%로 전월 대비 큰 폭(4.7%p)으로 하락함(p.9).
- 국내여행 평균 기간은 2.94일, 1인 당 총 경비는 23.2만 원, 1일 당 7.9만 원임(p.11).
- 단기간 여행(1박 2일)은 3개월 간 증가세인 반면, 3박 4일 이상의 여행은 감소세를 보임(p.11).

▷ 코로나 이전 대비(2019년 12월 대비)

- 국내 숙박여행 경험률과 계획률의 TCI는 각각 92, 89로 코로나 직전 보다 여행률이 전반적으로 모두 낮음(p.9, p.18).
- 전국 여행지 중 수도권(TCI 102), 전라권(TCI 111), 충청권(TCI 134)의 숙박 여행 경험률(점유율)이 코로나 이전 대비 높음(p.10).

▷ 전망

- 국내여행 계획률(63.0%)은 계속 하락하여 ’20년 하반기 펜데믹시기 수준까지 떨어짐.
이는 전년 동월 대비 6.8%p 낮고, 코로나 이전 대비 7.8%p 낮은(TCI 89) 수치임. 국내여행의 침체가 계속될 것임(p.18).
■ 해외 여행

▷ 현황

- 해외여행 경험률은 35.1%이며, 지난 1년 간 31~36% 사이를 유지하고 있음(p.25).
- 평균 기간은 6.56일, 1인 당 총 경비 173.6만 원, 1일 당 경비 26.5만 원임(p.27).
- 아시아 지역은 경험률 79.5%, 계획률 78.1%로, 해외여행의 중심지로 자리잡음(p.26, 34).

▷ 코로나 이전 대비(2019년 12월 대비)

- 해외 여행 경험률 TCI는 81로 코로나 이전 대비 크게 낮고, 이전 수준의 회복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임(p.25).
- 계획률 역시 TCI 79 수준으로 해외 여행 시장의 정체가 계속됨(p.33).
- 평균 여행 기간은 TCI 103로 비슷하나, 1인당 총 경비 TCI 124, 1일당 경비 TCI 120로 코로나 이전 대비 크게 높아진 수준임(p.27).

▷ 전망

- 국내여행과 동일하게 해외여행에서도 여행 감소와 여행비 지출 축소가 예상되며, 계속된 지출 의향 감소로 해외여행의 정체가 계속될 것으로 보임(p.32, p33).
- 불경기 속 가심비 선호 경향이 높아져, 아시아 권역 중심의 근거리·단기간·저비용 여행 선호가 계속될 것임(p.26, p.34).








컨슈머인사이트는 비대면조사효율적인 대규모 온라인패널을 통해 자동차, 이동통신, 쇼핑/유통, 관광/여행,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빅데이터패널 리서치 데이터융복합 연계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고 이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100% 모바일 기반으로 전국민 표본 대표성을 가진 조사 플랫폼 ‘국대패널’론칭하고 조사업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습니다.


여행 전문 리서치 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월간 국내·해외 여행동향 보고서’를 무료 공개합니다. 컨슈머인사이트가 2015년 8월부터 매주 5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주례 여행행태 및 계획 조사’의 핵심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 여행 관련 산·학·연과 관계자에게 시시각각 변하는 여행 소비 행태의 흐름을 읽는 통찰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컨슈머인사이트의 여가·여행 홈페이지(https://www.consumerinsight.co.kr/leisure-travel/)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십시오.

김민화 연구위원/Ph.D kimmh@consumerinsight.kr 02-6004-7643
현소리 대리 hyunsr@consumerinsight.kr 02-6004-7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