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이트
  • 금융

(’24년 10월) 써본 앱을 권유까지?... 토스 ‘추천고객 전환율’, KB·신한의 두배

2024-11-19
(주례) 금융 플랫폼 기획조사 - ’24년 10월 집계
- 추천전환율, 4개 은행앱 중 토스 가장 우수...카카오, KB, 신한 순
- 상위권 앱 간에도 차이 커...KB·신한, 토스의 절반 수준
- 금융앱 이용 4단계(설치·활동·확보·추천) 중 가장 중요
- 토스, 확보고객 비율 부동의 1위 지켰으나 연중 최저치
- 페이앱 넘버2 경쟁 ‘KB페이 vs 네이버페이’ 격차 줄어
- 신한SOL페이 연중 최저치로 현대·삼성카드 수준으로 하락


(주례) 금융 플랫폼 기획조사 개요
○ 조사기간 : 매주 월요일~목요일(4일간)
○ 조사방법 : 이메일/모바일 조사
○ 조사대상 : 전국 20~69세 성인
○ 조사표본 : 매주 500명 이상
○ 표본 프레임 : 약 86만명의 비편향 패널(Unbiased Panel)
(자발적 선택/가입을 허용하지 않고 확률적 표본 추출에 따라 선정된 패널)
○ 표본추출
  1단계 : 성·연령·지역별 표본수 할당
  2단계 : 표본 프레임에서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무작위 추출


이슈 분석) 확보고객→추천고객 전환율 비교

고객 단계(설치-활동-확보-추천)별 전환율로 앱의 마케팅성과를 진단


금융 모바일앱의 마케팅 성과를 앱설치, 앱이용(활동), 정기적 필수이용, 추천태도 등의 4단계로 정의해 측정하고 있음. 각 단계별 전환율(Conversion Rate)의 분석은 고객 여정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진단하는 시작점이 됨.


○ 시중은행 1, 2위(KB국민은행 스타뱅킹, 신한 SOL뱅크)와 인터넷뱅크 1, 2위(토스, 카카오뱅크)의 고객전환율을 비교 분석


○ 각 단계별 전환율을 분석하면 사용자 여정을 이해할 수 있고,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확인 가능함 (ex. ‘설치→활동’ 고객 전환율은 높지만 ‘활동 → 확보’ 고객 전환율이 낮다면, 초기 사용자 경험은 좋으나 장기적으로 가치 제공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함)


○ 시간에 따른 각 단계별 전환율 변화를 추적하면 마케팅과 제품 개선 활동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최적화와 성과 향상을 위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음




‘확보고객→추천고객’ 전환율에서 유독 큰 차이


○ ‘설치→활동’ 단계와 ‘활동→확보’ 단계의 고객 전환율은 대체로 80%이상으로, 대표적인 금융 앱답게 우수했음. 단, 신한SOL뱅크는 70%대 후반으로 다소 처졌음


○ ‘확보→추천’ 단계의 고객 전환율에서는 차이가 컸음. 토스가 8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카카오뱅크(64%)였으며, KB국민은행 스타뱅킹(45%)과 신한SOL뱅크(42%)는 비교적 낮았음


○ ‘확보→추천’ 단계의 전환율을 높이는 핵심은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어떻게 이끌어내느냐에 있으며, 이는 만족도와 전환율의 상관성에서 확인되고 있음 (참고. 3분기 금융앱 만족도 결과 ’24. 10. 24)

KB국민은행 스타뱅킹신한SOL뱅크의 ‘추천고객 전환율’이 낮은 것은 2030에서의 열세 때문임





(’24. 10월) 소비자가 꼽은 ‘정기적/생활 필수 금융 앱’ 순위

토스가 1위를 유지했지만 상반기에 고점을 찍은 이후 4개월 연속 하락해 연중 최저치를 기록


○ 올해 KB스타뱅킹에 우세를 보이던 카카오뱅크는 3.1%p 감소해 3위로 내려앉음


○ 페이 앱 중엔 카카오페이가 부동의 1위 유지. 2위 KB페이와 3위 네이버페이의 격차 축소가 주목됨


신한SOL페이는 최근 1년 중 최저치를 기록하며 현대카드, 삼성카드와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함



* 확보고객 : ‘금융 플랫폼 기획조사’의 앱 활동성 평가 지표 참조
** 비고(해당권역) : [별첨3] ‘조사 대상 앱’을 퍼블리셔의 사업영역을 기준으로 분류(e.g. 은행/인터넷뱅크, 증권, 신용카드 등)










컨슈머인사이트는 대규모 온라인패널을 통해 금융, 자동차, 이동통신, 쇼핑/유통, 관광/여행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서베이 데이터는 금융·통신 등 다양한 빅데이터융복합 연계하여 각 데이터의 한계점을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100% 모바일 기반으로 전국민 표본 대표성을 가진 조사 플랫폼 ‘국대패널’을 론칭하고 조사업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습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해 주십시오.

이정헌 전무 leejh@consumerinsight.kr 02-6004-7680
전민정 부장 jeonmj@consumerinsight.kr 02-6004-7684
최민국 대리 choimg@consumerinsight.kr 02-6004-7686
장지영 대리 jangjy@consumerinsight.kr 02-6004-7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