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isure · Travel 스킵네비게이션

관광수지 악화 주범은 ‘해외여행이 더 싸다’는 미신

2024.10.28
컨슈머인사이트, ’17년~’24년 국내외 여행 지표 추이 비교
- 여행계획·지출의향 등 국내는 하락, 해외는 상승세
- 국내여행 초긴축하면서 7배 더 드는 해외여행 선호
- 올해 상반기 관광수지 적자 65억 달러로 급증
- 해외여행이 덜 든다는 ‘미신’ 사라져야 적자 줄어
이 리포트는 컨슈머인사이트가 오는 10월 30일 발간할 ‘월간 국내·해외 여행동향 보고(’24년 9월)’의 핵심 결과를 기초로 작성된 ‘이달의 토픽’입니다.
정규 ‘월간 국내·해외 여행동향 보고’는 당 조사의 플랫폼(컨슈머인사이트 월간여행동향)에서 열람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문화정보원 문화빅데이터 플랫폼 마켓C www.bigdata-culture.kr에서도 공개되고 있습니다.

○ 국내여행은 감소, 해외여행은 증가하는 여행 수요의 불균형이 예상된다. 해외여행 비용이 국내여행의 7배가 넘고, 해외 1일 비용이 국내 2박3일보다 더 드는데도 해외여행을 선호하고 있다. ‘해외여행이 더 싸다’는 괴담과 소비자의 확증편향이 관광수지 적자의 주된 원인이다.

□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015년부터 수행하는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매주 500명, 연간 2만6000명)에서 ’17년 이후 연도별(’24년은 9월까지)로 소비자의 여행경험과 여행의향, 여행비 지출 의향을 묻고 이를 비교해 앞으로의 추이를 전망했다.
□ 컨슈머인사이트의 데이터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빅데이터센터구축사업을 통해, 한국문화정보원 문화빅데이터플랫폼 마켓C https://www.bigdata-culture.kr/에서도 공개되고 있다.
해외여행 추가 상승 가능성 높아

○ 코로나 발생 전인 2019년을 기준으로 현재의 여행계획률과 경험률을 보면 국내여행은 감소, 해외는 증가세가 뚜렷하다. 국내여행은 ’22년 정점을 찍은 후 계속 하락하고 있고, 해외여행은 ’21년 기록한 최저점에서 계속 상승하고 있다[그림1-1]. 올해 국내여행 계획률과 경험률은 코로나 직전(’19년) 대비 98%와 96%(TCI 각각 98, 96)로 더 낮아진 반면, 해외여행은 급증하고 있음에도 아직 84%, 81% 수준에 머물고 있다. 추세를 보면 국내여행은 추가 감소, 해외여행은 추가 증가할 가능성이 다분하다.

□ TCI는 여행 행태의 코로나 전후 변화를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컨슈머인사이트가 개발한 지수로, 비교 시점의 결과값을 ’19년 결과값으로 나눈 백분율[(비교 시점/’19년 결과값)x100]이다. TCI가 100보다 작으면 ’19년 동기보다 감소했고 크면 그만큼 증가했음을 뜻한다.

○ 여행비 지출동향(지난 1년간 전년 대비 ‘더 썼다’ 비율) TCI는 ’21년 26으로 바닥을 찍은 후 폭발적으로 증가해 2년만인 ’23년 108로 폭등했으나 올해는 110으로 미세한 증가에 그쳤다. 코로나 전보다는 아직 높지만 지출 축소 의지가 엿보인다.

○ 주목할 점은 여행비 지출의향(앞으로 1년간 전년보다 ‘더 쓸 것’ 비율)의 급랭이다. ’22년 국내여행비 지출의향 TCI는 135로 앤데믹 후 치솟았으나 이후 2년 연속 가라앉아 올해는 103에 머물렀다[그림1-2]. 해외여행 TCI는 한 해 늦은 작년 최고치(121)를 찍었다가 올해는 104로 내려앉았다. 중요한 것은 올해 들어 국내외 모두 지출의향이 급격한 하락세를 보인 점이다. 이는 다수의 소비자가 여행을 포기하거나 초긴축여행에 나서게 될 것임을 예상케 한다(참고. 알뜰여행에서 초긴축여행으로…여행산업 위축 시작됐다 ’23.09.26)

○ 전체적으로 보면 국내여행 감소, 해외여행 증가가 예상되나 비용면에서는 둘 다 감축 압박을 받고 있다. 특히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초긴축 방향으로 전환이 확실시된다. 일부 여유층은 이와 무관하게 국내외 여행을 즐길 것이나 대다수는 여행의 빈도와 규모, 지출에 민감해질 수밖에 없다.

지출의향 늘었지만 물가 상승 감안하면 ‘초긴축’

○ 엔데믹 이후 보복소비 등 과소비 우려도 있었으나 오래 가지 않았다. 실제 2박3일 일정의 국내여행에서 지출한 비용은 ’22년 26만원, ’23년 23만7000원, ’24년(1월~8월) 23만1000원으로 매년 감소해 왔다[그림2]. 이는 최소한 국내여행의 경우 과소비 경향은 없었음을 뜻한다. 오히려 코로나 전 ’19년과 비교한 ’24년 소비자 물가 지수(통계청)가 114에 달했음을 고려하면, 물가 상승에도 여행비는 계속 줄이는 초긴축 추세가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참고. 심해지는 긴축여행, ‘줄인 것’ ‘줄일 것’ 1위는 식비 ’24.03.26).

○ 그러나 여행자는 국내보다 해외여행에서 더 기꺼이 지갑을 열고 있다. 올해 1회 여행 당 총비용은 해외여행이 평균 176만5000원으로 국내여행 평균(23만1000원)의 7.6배에 달했다. 1일당 경비로 환산하면 평균 26만6000원으로 국내여행 2박3일보다 더 들었다(참고. 여행비 7배 이상 드는데…해외여행 만족도가 더 높은 이유는? ’24.10.04). 같은 3박4일로 환산한 실제 여행비에서 제주도(52만8000원)보다 일본(113만6000원)이 2.2배 많았음에도 해외로 몰려가는 이유를 생각해 봐야 한다.

관광수지 적자, 2년 연속 코로나 전보다 늘어

○ 현재 한국 관광산업은 내우외환 상태다. 국내관광은 고물가와 초긴축여행에 따른 ‘저비용-저만족’의 악순환으로 활기를 잃고 있다. 많은 사람이 국내여행 계획을 접거나 맹목적으로 해외여행을 선망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 결과 ’24년 상반기 관광수지 적자는 65억 달러로 2년 연속 코로나 전 수준(’19년 56억6000만 달러)을 넘어섰다. K컬처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여행수지 적자 폭은 커지고 있다.

○ 그 이면에는 여행비용에 대한 ‘터무니없는 인식’이 있다. 실제 일본여행에 제주도의 2.2배(일본 113만6000원, 제주도 52만8000원)가 드는데도, 88%가 ‘제주도 갈 돈이면 일본 간다’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다고 하고, 83%는 ‘실제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70%는 ‘그런 말에 공감한다(일본 가는 것이 낫다)’고 답했다(참고. ‘제주도 갈 돈이면 일본 간다’에 10명 중 8명 ‘가능하다’ ’24.07.30). 국내여행을 부당하게 폄하하고 해외여행은 터무니없이 치켜세우는 미신이 사라지지 않는 한 관광수지 적자는 줄지 않을 것이다.

-------------------------------------------------- 별 첨 ------------------------------------------------------



컨슈머인사이트는 비대면조사효율적인 대규모 온라인패널을 통해 자동차, 이동통신, 쇼핑/유통, 관광/여행,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빅데이터패널 리서치 데이터융복합 연계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고 이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100% 모바일 기반으로 전국민 표본 대표성을 가진 조사 플랫폼 ‘국대패널’론칭하고 조사업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습니다.


이 결과는 (주)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가 매주 여행소비자 500명(연간 2만 6000명 조사)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를 바탕으로 10월 30일 발간하는 ‘월간 국내·해외 여행동향 보고(’24년 9월)’의 핵심 내용을 분석한 것입니다. 매주 조사 결과와 월간 보고서 전문은 컨슈머인사이트의 여가여행 홈페이지 https://www.consumerinsight.co.kr/leisure-travel/에서 볼 수 있으며 무료 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 해당 데이터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빅데이터센터구축사업을 통해, 한국문화정보원 문화빅데이터플랫폼 마켓C https://www.bigdata-culture.kr/에서도 공개되고 있습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십시오.

김민화 연구위원/Ph.D kimmh@consumerinsight.kr 02-6004-7643
이제성 책임연구원/ph.D leejs@consumerinsight.kr 02-6004-7631